2023.03.28 (화)

  • 구름많음동두천 12.4℃
  • 맑음강릉 17.4℃
  • 흐림서울 12.9℃
  • 구름많음대전 15.1℃
  • 맑음대구 15.6℃
  • 맑음울산 16.4℃
  • 맑음광주 14.3℃
  • 맑음부산 16.1℃
  • 구름많음고창 14.5℃
  • 맑음제주 16.0℃
  • 구름조금강화 11.1℃
  • 구름많음보은 14.7℃
  • 구름많음금산 14.9℃
  • 구름조금강진군 16.5℃
  • 맑음경주시 16.6℃
  • 맑음거제 16.6℃
기상청 제공

최신기사






기계와 인간을 구분할 수 있는 튜링테스트!

기계와 인간을 구분할 수 있는 튜링테스트!

기계는 얼마나 인간과 비슷하게 대화할 수 있을까? 이 질문을 받으면, 많은 사람들은 '튜링 테스트'를 떠올릴 것이다. 그렇다면, '튜링 테스트'는 무엇일까? 지금부터 알아보자! '튜링 테스트'는 기계가 인공지능을 갖추었는지를 판별하는 실험이다. 기계에게 질의·응답을 통해, 기계가 인간 수준의 지능이 있는지 가려내는 실험이다. 이 실험은 '컴퓨터의 아버지'라 불리는 영국의 수학자 '앨런 튜링'이 처음으로 소개한 개념이다. 튜링 테스트를 진행하기 위해서는 질문자 1명, 응답자 1명, 응답기계 1개이 필요하다. 진행방식은 아래와 같다. <튜링테스트 방식> 1. 질문자를 응답자와 다른 공간에 분리한다. 질문자와 응답자는 글을 통해서만 소통한다. 2. 응답 기계에게는 인간을 흉내내어, 질문자를 속이라는 과제를 부여한다. 3. 응답자(인간)에게는 질문자의 질문에 대해서 정직하게 답하라는 과제를 부여한다. 4. 질문자에게는 인간과 기계의 응답을 듣고, 그들 중 누가 인간이고 기계인지 맞추라는 과제를 부여한다. 질문자는 인간과 기계 중, 더 자연스럽게 대화를 나눈 쪽을 인간이라 판단하면된다. 그렇다면, 지금까지 이 테스트를 통과한 기계가 있을까? 지금까지 테스트를 통과한 기계는 러시아 연구진이 개발한 <유진 구스트만>이 유일하다. 하지만, 이 기계는 13세 소년으로 설정되어 있어서, 많은 사람들은 기계가 거짓말로 대화한다는 부정적인 시각을 받았다고 한다. 특히, 미래 학자이자 구글 기술 이사인 '레이 커즈와일'은 "유진 구스트만이 꼼수를 부린 덕에 튜링 테스트를 통과했다."고 비판하기도 했다. 앞으로, 더 기술을 발전해서 완벽하게 튜링 테스트에 통과하는 기계가 나오길 기대한다.


문자의 탄생, 훈민정음

한글 창제 배경과 원리에 대해 알아보자!

문자의 탄생, 훈민정음

우리가 사용하는 한글은 세계에서 인정하는 독창적이고 과학적인 문자다. 한글이 어떻게 만들어졌기에 이런 찬사를 받는 것일까? 지금부터 자세히 알아보자! 약 570여 년 전, 우리 조상들은 우리말은 우리글로 담을 수 없었다. 왜냐하면, 우리말을 옮길 수 있는 우리 글자가 없었기 때문이다. 당시에는 중국의 한자를 빌려 썼는데, 일반 백성들이 어려운 한자를 사용해 소통하는 데는 큰 어려움이 있었다. 이에 세종대왕은 누구나 쉽게 읽고 쓸 수 있는 '훈민정음'을 만들었다. 세종대왕이 창제한 훈민정음은 자음 17자, 모음 11자로, 총 28자로 구성되었다. 자음을 만든 원리의 큰 특징은 발음 기관의 모양을 본 떠 만들었다는 점이다. △첫 번째 기본 자음 'ㄱ'은 혀뿌리가 목구멍을 막는 모양 △'ㄴ'은 혀끝이 윗잇몸에 붙는 모양 △'ㅁ'은 입의 모양 △'ㅅ'은 이의 모양 △마지막으로 'ㅇ'은 목구멍의 모양을 본떴다. 모음자의 △첫 번째 기본 모음자 '•'는 세상에 처음 존재한 하늘을 뜻하고 △'-'는 평평한 땅을 가리키고 △'ㅣ'는 하늘과 땅 다음에 생겨난 사람을 나타낸다. 즉, 하늘-땅-사람(천·지·인)을 본따서 모음의 기본자를 만들었다. 자음의 기본자 다섯과 모음의 기본자 셋, 여기에 획을 더하고 글자를 합해, 28자의 한글을 창제했다. 특히, 자음자의 경우에는 소리가 세짐에 따라 기본자에 획을 추가했다. 따라서 가획된 자음자와 그 기본자는 발음할 때 소리나는 위치가 같다. 모음자는 기본자를 합해 만들었다. 합성의 원리로, 기본 3개의 모음자가 총 11자가 되었다. 이처럼 한글은 최소의 기본자를 만들고, 기본자에서 규칙적으로 확대해 나간 간결하면서도 배우기 쉬운 문자다. 그래서 독창적이고 과학적이며 실용적인 문자라고 한다. 한글 창제 원리에 대해서 더 자세히 알고 싶다면, https://youtu.be/Kpgm4XQNhzo로 방문해보길 추천한다, 앞으로는 우리의 한글을 더 사랑하자! 출처 : https://youtu.be/Kpgm4XQNhzo


핸들 꺾는 기업들의 리쇼어링

기업의 리쇼어링에 대하여

핸들 꺾는 기업들의 리쇼어링

현재 '리쇼어링(Reshoring)'이 새로운 글로벌 트렌드로 주목받고 있다. 과거에는 다국적 기업들이 글로벌화를 위해 생산시설이나 영업지점을 해외에 세우는 것이 일반적이었던 것과는 대조되는 현상이다. 미국을 비롯한 해외 기업들이 리쇼어링 움직임을 보이면서, 다른 나라들도 관심을 보이고 있다. '리쇼어링'은 해외에 진출해있던 기업들이 다시 본국으로 돌아오는 것을 의미하는 경제학 용어다. 지금까지, 기업들은 중국과 인도, 동남아시아 등으로 생산공장 시설을 이전했었다. 그 이유는 자국보다 인건비가 저렴하고, 노동력이 풍부했기 때문이었다. 교통과 통신의 발달로 연구 시설을 짓기도 했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지금까지와는 다른 움직임이 포착됐다. 중국과 인도의 경제 규모가 커지면서 인건비가 상승했는데, 해외에 공장을 지은 이점이 없어진 것이다. 또 미·중 무역 전쟁으로, 중국에서 미국으로 물건을 들여올 때 과세부담이 높아지기도 했다. 이 외에도 미국 내 '반도체와 과학법'이 승인되면서 리쇼어링한 미국 반도체 기업들에 대한 지원이 마련되었다. 자국 내에 제조업 시설을 배치하는 것이 흑자인 상황이 된 것이다. 기업의 리쇼어링은 자국 내 일자리 증가 효과도 볼 수 있다. 하지만, 생산공장이 빠져나온 지역은 경제 침체와 실업률 상승 등이 예상된다. 또 첨단 기술의 발전으로 새롭게 이전한 생산라인에 인공지능이나 로봇이 사용된다면, 오히려 일자리 증가는 미미할 수 있다는 예측도 나오고 있다. 리쇼어링! 해외에 생산공장을 가지고 있는 우리나라 기업들의 앞으로의 움직임이 주목받고 있다.




직업의 세계

더보기

영상 NEWS

교육/진로

더보기



칼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