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주변에서 다양한 사람들을 볼 수 있다. 그 중 장애인도 예외는 아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장애인에게 "불쌍하다", "안타깝다", "힘들겠다" 등... 장애인을 동정하곤 한다. 이런 고정관념을 가진 사람들에게 깨달음을 주는 책, 「산책을 듣는 시간」을 소개한다.
이 책은 청각장애인 '수지'의 이야기다. 수지는 어릴 때, 갑자기 귀가 안들렸다. 엄마는 수지가 처음부터 귀가 안들렸다고 거짓말해 왔고, 수지도 그렇게 믿었다. 수지는 커가면서 장애인이라고 많은 무시를 당했는데, 피아노학원에 다니려고 해도 귀가 안들려서 안된다고 했다. 수지는 귀가 안들리는 것에 큰 불편을 못 느꼈지만, 사람들은 수지를 안타깝게 생각했다. 엄마도 수지를 위해 여러가지 방법을 행했지만, 실제로 수지가 원하는 것이 아니기 일쑤였다. 타인과 소통하는 수화, 가고 싶었던 교회 등...
그러던 어느날, 수지는 시각장애인 친구 '한민'과 산책을 하면서 가까워진다. 그러던 중 수지는 엄마의 권유로, 소리를 들을 수 있는 인공와우 수술을 하게 된다. 인공와우 수술은 선천적 장애에 해당되지 않음으로, 수지는 자신이 후천적 장애인이었음을 알게 된다. 수술을 받은 수지는 내내 조용하고 고요해서 좋았던 자신의 세상이 시끄럽고 불쾌해짐을 느꼈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엄마도 자신의 삶을 위해서 집을 나간다. 하지만, 수지는 친구 한민 덕분에 자신만의 삶을 만들어간다. 그러면서 힘든 삷을 살고 있는 또 다른 누군가를 위해서 '산책을 들어드립니다' 라는 산책 프로그램도 만들었다. 훗 날, 노래를 좋아했지만 청각장애인 딸이 있어서 자신만의 삶을 살지 못했던, 엄마와도 연락이 닿게되면서 이 이야기가 끝난다.
이 이야기 중에는, '장애를 하나의 장점으로 봐줄 순 없나?'라는 구절이 나온다. 이 구절은 장애인은 동정을 받아야 할 대상이 아닌, 단지 하나의 사람이라는 것을 말하고 있다. 가을의 끝 자락, 장애인에 대한 편견을 버리고 깨달음을 주는 이 책을 꼭 읽어보길 바란다.